데이터 베이스 설계(모델링) 과정은 세단계로 나뉜다.
개 논 물
개념
논리
물리
개념 설계 ( ERD )
개념 설계에서는 머리 속에 있는 것들을 다 끄집어 내는 것이다.
요구사항을 모두 꺼내기! 그것들을 그림으로 만들어서 설계를 해야한다.
그 방법이 무엇일까? → ERD (ER Diagram)
ERD (ER Diagram)이란?
"ER Diagram"은 Entity-Relationship 다이어그램의 약자로, 데이터베이스 디자인과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중요한 도구 중 하나입니다. ER 다이어그램은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데 사
ssoontory.tistory.com
논리 설계 ( 정규화, T / I )
논리 설계에서는 ERD에서 머릿속에서 정보를 다 끄집어 낸 것을 모으고 중복성 배제하는 등의 작업을 해야한다.
논리적으로 예쁜 그림을 만들어야 한다.
이를 정규화 과정이라고 한다.
또한 Transaction Interface 도 함께 논리 설계에서 수행하게 된다.
정규화라는 것은 이상현상 때문에 하는 것이다.
이상현상 같은 경우에는 삽입 삭제 갱신 이상이 있는데 그런 것들을 없애기 위해서 정규화를 하게 된다. (2020 1회 실기기출)
물리 설계 ( 성능, 역정규화[=반정규화 = 비정규화] )
물리 설계에서는 이 정규화 된 것을 가지고 실제로 하드디스크(물리적인 장치)에다가 집어 넣어야 한다.
물리 설계에서는 성능을 고려한 설계를 해야 한다.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작업을 해야한다.
인덱스를 만들고 파티션을 치고 뷰도 만들고 트리거를 만드는 등의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하다하다 성능이 안나오게 되면,
정규화 과정을 반정규화(역정규화)를 시키기도 한다.
반정규화라는 것은 데이터베이스 정규화 이후,
데이터베이스의 성능 향상과 개발 편의성 등을 위해서 정규화에 위배되는 수행 기법이다. (2020 1회 실기기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