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지식/chat gpt와 TIL

HDD와 SDD의 차이

쑨토리 2023. 10. 13. 16:57

오늘날 개인 저장소로 주로 활용되는 것은 크게 HDD와 SSD입니다.

 

HDD는 자기적 방식, SSD는 전기적 방식의 원리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저장 방식의 차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HDD와 SSD의 차이를 이해하기 쉽게 예시와 함께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HDD (Hard Disk Drive)


과거에 많이 사용되었던 LP판 동작과 유사합니다. 

LP판이 돌아가면 축음기 바늘이 LP판에 새겨진 진동 정보를 소리로 전달하는 것처럼 HDD도 정보를 저장하는 플래터와 정보를 찾는 해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헤드가 플래터의 정보를 읽어서 컴퓨터에 전달하거나 컴퓨터가 보내는 신호를 플래터에 저장하게 됩니다.

 

이때 플래터는 자성 물질로 되어 있어서 내부의 작은 자석이 정렬되어 있으면 1,

정렬되어 있지 않아서 자기 신호를 받을 수 없는 경우( 혹은 자석이 반대 방향인 경우 )를 0으로 표현합니다.

 

리고 헤드는 0과 1의 디지털 신호를 자기적인 방식으로 기록하거나 읽게 됩니다. 

 

 

https://semiconductor.samsung.com/kr/support/tools-resources/dictionary/semiconductors-101-part-1-the-difference-between-hdds-and-ssds/


이것은 고전적인 저장 장치로, 회전하는 디스크 안에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디스크가 회전하면서 읽고 쓰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HDD에서 물리적 I/O가 느린 이유는 데이터를 찾을 때 HDD에서 원하는 찾을 때 돌아가는 플래터에서 헤드가 값을 읽기 때문에 데이터가 서로 떨어져 있다면 회전이 자주, 오래 걸리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었다. 

HDD는 큰 데이터 저장 용량을 가지며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제공됩니다.

HDD는 마치 책장에 책을 찾아보는 것과 유사합니다.

책장에 가서 원하는 책을 찾기 위해 시간이 좀 걸릴 수 있으며, 책장 안의 책들을 빠르게 넘길 수 없습니다.

 

 

https://brunch.co.kr/@natrsci/87

 

 


SSD (Solid State Drive)


출처 위키 : https://namu.wiki/w/SSD


SSD는 전자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회전하는 디스크가 없습니다. 

SSD는 'Solid State Drive'의 약자입니다. 직역하면 고체 저장소라는 뜻인데, 여기서 말하는 고체는 반도체를 의미합니다. ( 그렇다면 SSD는 반도체 저장소라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겠습니다....ㅎ 반도체 저장소는 SSD ) 

 

반도체의 트랜지스터 전기적 성질, 전류를 흐르게 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 방식을 이용합니다. 

 

전기 신호가 가해지면 SSD 셀에는 전자가 저장되게 되고, 이를 기준으로 전류를 통제함으로써 디지털 신호를 표현합니다.

이런 기술은 이미 USB 등에서 상용화 되었는데, SSD를 USB의 대용량 버전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달리 반도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이라 저전력으로 빠르고 모터가 없기 때문에 소음이 없습니다.

 

이로 인해 매우 빠른 속도와 낮은 지연 시간을 가지며, 작은 크기에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비교적 높은 가격이 있을 수 있습니다.

SSD는 마치 책장 대신 전자책을 사용하는 것과 유사합니다.

전자책은 페이지를 빠르게 찾아볼 수 있고, 책장을 넘기는 시간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요약하면, HDD는 회전 디스크를 사용하여 데이터에 접근하는 데 시간이 더 걸리지만, 큰 저장 용량을 가지며 비교적 저렴합니다. 

반면 SSD는 전자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빠르고 지연 시간이 낮지만 비교적 비싸고 저장 용량이 작을 수 있습니다. 

HDD와 SSD 중 어떤 것을 선택할지는 사용 용도와 예산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개념을 통해서 HDD의 한계와 SSD의 발전을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출처 : https://semiconductor.samsung.com/kr/support/tools-resources/dictionary/semiconductors-101-part-1-the-difference-between-hdds-and-ssds/

 

HDD는 LP판의 원리와 비슷하게 돌아가는 디스크에서 헤드가 정보를 찾기 때문에,

디스크를 돌리는 것에 의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고 합니다.

흔히 노트북에서 발생하는 '위잉'거리는 소음도 HDD 때문이라고 합니다. 다들 이런 경험 한번씩 있으셨죠? 이건 헤드가 정보를 찾기 위해서 디스크를 돌리기 때문에 시간도 오래 걸릴 뿐 아니라, 발열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또한 HDD는 디스크 조각 모음을 정기적으로 해줘야 합니다.

정보가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경우에 디스크를 돌리는 과정에서 시간이 불필요하게 낭비될 여지가 있기 때문에 조각난 정보들을 한 곳에 모아서 디스크 한쪽으로 배열해주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디스크의 한쪽으로 정보들을 배열하게 되고 헤드가 정보를 찾는 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됩니다. 

 

HDD는 직접 돌린다는 점에서 내구성 문제도 발생하게 됩니다.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에 취약하다는 특징이 있고, 디스크 표면에 먼지가 묻거나 흠집이 발생하면 부분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하게 될 수도 있게 됩니다. 

 

이러한 HDD의 단점 때문에, SSD는 HDD의 대안 저장 매체로 급부상 했습니다.

 

우선 정보를 쓰고 읽는 속도가 SSD가 훨씬 빠르고,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빠르게 파악하기 때문에, 디스크를 돌리거나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이 없습니다. 초창기 SSD의 경우 기술적으로 HDD보다 늦게 나온 탓에 쓰고 읽는 속도가 느렸지만, 지금은 대폭 향상이 되었습니다. 

 

또한 SSD의 경우에는 '조각 모음'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분산된 파일들을 읽으려면 직접 돌려야하는 HDD와 달리, 전체 파일을 한 번에 읽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유로 수많은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해야 하는 컴퓨터 부팅용 드라이브가 SSD가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가격이 저렴한 HDD를 보조 저장매체로, 부팅용 저용량 매체를 SSD로 사용하게 된 것입니다.

현재는 SSD 성능이 발전해, 점차 보조 저장매체까지 SSD를 쓰는 HDD미사용 컴퓨터가 점차 보편화 되고 있습니다. 

 

HDD의 경우 아직 가격대비 용량 면에서 SSD보다 다소 우위에 있는 상태입니다. 

전문가들은 수년 안에 SSD와 HDD의 가격 격차가 줄어들고, SSD용량도 HDD에 근접할 것으로 내다봅니다. 

 

 


 

참고 출처 : https://brunch.co.kr/@natrsci/87

 

SSD와 HDD 기술 원리와 차이점

SSD, HDD 기술 원리 훑어보기 | 오늘날 개인의 저장소로 주로 활용되는 것은 크게 HDD와 SSD입니다. 저장 매체로는 과거 플로피 디스크 등도 유행했지만, 요즘은 소프트웨어서 보이는 '저장' 버튼에

brunch.co.kr

해당 블로그를 참고하여 포스팅을 작성하고, 공부하였습니다!!! 

 

https://semiconductor.samsung.com/kr/support/tools-resources/dictionary/semiconductors-101-part-1-the-difference-between-hdds-and-ssds/

 

우리 #반모 할래? 1탄, HDD와 SSD의 차이점 | 삼성반도체

삼성반도체 공식 웹사이트 기술 블로그에서 HDD와 SSD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세요.

semiconductor.samsung.com

 

https://www.crucial.kr/articles/pc-builders/what-is-a-hard-drive

 

드라이브 | 하드 드라이브란 무엇입니까? | Crucial Korea

하드 드라이브란 무엇입니까?하드 드라이브의 작동 방식을 무엇입니까?문장을 읽고하드 드라이브에 대해 알아보십시오.

www.crucial.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