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 Network ] IP 주소란?
    카테고리 없음 2023. 3. 31. 20:33

    IP 주소란?


    + 네트워크 환경에서 컴퓨터(노드)간 통신하기 위해 각 컴퓨터에 부여된 네트워크 상 주소라고 생각하면 된다. 

     

    # ipconfig

    여기서 IPv4 주소가 내 컴퓨터의 IP주소라고 보면 된다. 

    그러니까 내 컴퓨터 주소는 192.168.0.133이다.

    여기서 네트워크 주소는 192.168.0 까지이고, 133은 나만의 호스트 IP라고 한다. 

     

    쉽게 예를 들어보면 서울시 송파구 오금동 A아파트 7동 707호라는 주소가 있다. 

    여기서 서울시 송파구 오금동 A아파트 7동까지가 네트워크 주소이고 707호는 호스트 주소라고 생각하면 된다. 

    즉, 공통적인 부분( 다른 사람과 중복이 있는 부분 )은 네트워크 주소이고, 나인 것을 식별할 수 있는 부분 ( 중복되지 않고 유일무이한) 은 호스트 주소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제 이해가 되었으면 조금 더 자세히 IP에 대해 알아보자

     

     

     

     

    IP 주소 체계


     

    IP 주소는 IPv4와 IPv6 체계로 나뉜다. 

     

    먼저 IPv4에 대해 이야기 해보자. 

     

     

    IPv4는 3자리 숫자가 4마디로 표시되는 방식이다. 

    각 마디는 옥텟(octet)이라고 부른다. 

    위의 주소는 각 32비트, 마디당 8bit로 처리된다. 

    아까 위에서 확인한 아이피로 설명을 해보도록 하겠다. 

     

    192.168.0.133이라는 아이피가 있다고 하자. 

    IP는 우리가 편하게 보기 위해서 10진수 표기법으로 표기한 것이지 사실은 32자리 2진수로 표현되어 있는 것이다. 

    192.168.0.133 IP를 32자리 2진수 표기법으로 바꾸면 아래와 같다. 

    192. 168. 0. 133
    11000000. 10101000. 00000000. 10000101

     

     

    IPv4는 한 옥탯당 256개(2^8)의 수를 나타낼 수 있어 256^4 = 4,294,967,296 개의 주소를 만들 수 있다.

    약 42억 개의 IP를 각각의 컴퓨터에 할당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인터넷 환경이 발달함에 따라 어마어마하게 많은 수의 IP주소가 필요해져 IPv4 주소 체계로는 IP주소를 할당하기가 어려워졌다.

     

    따라서 새로운 주소 체계인 IPv6가 나오게 되었다. (더 딥한 개념들은 차차 추가하며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댓글

SSOONTORY Blo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