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ubernetes5

[ minikube ] minikube로 진행하는 쿠버네티스 실습. _쿠버네티스 cli 사용법 + yaml 파일 사용법 + 버전관리 실습 미니큐브란? 미니큐브(Minikube)는 로컬 개발 환경에서 Kubernetes 클러스터를 구동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입니다. Kubernetes는 분산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여러 개의 컨테이너로 분리하여 배포, 관리, 확장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미니큐브는 이러한 Kubernetes 클러스터를 로컬 환경에서 쉽게 실행하고 테스트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미니큐브를 사용하면 개발자는 로컬 컴퓨터에서 실제 Kubernetes 클러스터와 유사한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화하고, 로컬에서 클러스터를 구동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미니큐브는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여 로컬 머신에서 격리된 Kubernetes 환경을 생성합니다. .. 2023. 7. 10.
쿠버네티스 443 포트란? kubernetes ClusterIP 의 443 포트에 대해 궁금해져서 GPT에게 물어보았다. "443/TCP"는 Kubernetes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Kubernetes API 서버의 포트입니다. Kubernetes API 서버는 Kubernetes 클러스터의 중심 컨트롤 플레인 역할을 수행하며, 클러스터 관리자 및 사용자가 Kubernetes 리소스를 생성, 수정, 삭제, 조회하는 데 사용됩니다. API 서버는 클러스터 내부의 다른 구성 요소 및 외부에서의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합니다. 포트 "443"은 HTTPS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보안 연결을 위한 포트입니다. Kubernetes API 서버는 일반적으로 TLS (전송 계층 보안) 인증서를 사용하여 안전한 통신을 제공합니다.. 2023. 7. 7.
[ minikube ] 환경 세팅하기_Minikube 설치 + kubectl 설치 minikube란 ? 미니큐브는 쿠버 네티스의 light한 버전이고 k8s와 달리 다중 노드가 아닌, 한 개의 노드만 들어있다. 즉 마스터서버 (api server, etcd , controller, scheduler) + 노드(proxy, kubelet)를 함께 운영 왜 사용할까? minkube는 실 운영용 k8s은 너무나도 설정할 것들이 많고 여러개의 서버가 존재하기때문에 개발 환경 및 테스트용으로는 적합하지않다. 그렇기 때문에 나온게 minkube(+ k3s =>하나의 서버에서 master와 node를 관리) # kubectl version 미니 큐브는 싱글 노드라 하나만 나옴 미니큐브라는 노드 하나에 마스터노드 워크노드 둘 다 함께 있음. 여러개가 함께 보여지는 것은 멀티 노드에서 볼 수 있다. .. 2023. 7. 7.
쿠버네티스 오류 (The connection to the server ...was refused - did you specify the right host or port?) 쿠버네티스 The connection to the server [아이피] was refused - did you specify the right host or port? 해결하기. 원인 : vm이 꺼졌어서 #minikube status 명령어로 확인해보니 status가 stopped되어있음. 해결 방법 : start 시켜주기 # minikube start --driver=none 다시 실행시키면 kubectl의 version이 나오게됨. 2023. 7. 7.
쿠버네티스 TIL / 따배쿠 5. Pod 강의 정리. - 컨테이너 하나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라고 생각하기. - pod란 컨테이너를 표현하는 쿠버네티스 api의 최소 단위임. - pod에는 하나 또는 여러개의 컨테이너가 포함될 수 있음. webserver라는 이름의 pod를 생성하고, 그 안에 하나의 컨테이너의 이미지는 nginx:1.4로 해줘. yaml 파일을 생성하면, 동작중인 파드를 파드 템플릿으로 만드는 것과 동일한 기능을 한다고 보면 된다. 만약 동작중인 pod의 템플릿을 만들고 싶다면, pod 속성을 더 자세히 볼 수 있는 -o 명령어에 yaml 형식으로 보겠다는 명령만 추가해주면 필요한 정보를 복붙해서 yaml 파일을 생성해줄 수 있다. 예시 ) # kubectl get pods web1 -o yaml 지금 앞서 만들어서 실행중인 하나의 파드의.. 2023. 6.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