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27

소프트링크와 하드링크의 차이

소프트링크와 하드링크의 차이 1. 데이터 저장 방식 - 하드링크 원본 파일과 하드링크 간에는 동일한 Inode를 공유하며, 실제 데이터도 공유합니다. 원본 파일이나 하드링크 중 하나를 수정하면 나머지도 변경된 내용을 반영합니다. 단, 디렉터리 (폴더)에는 하드링크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 소프트링크 원본 파일과 소프트링크는 서로 다른 Inode를 가지며, 소프트링크 파일 자체에는 원본 파일의 경로 정보만 저장되어 있습니다. 실제 데이터는 공유되지 않으며, 소프트링크 파일이 원본 파일을 가리키기만 합니다. 2. 파일 속성 - 하드링크 원본 파일과 하드링크는 동일한 파일 권한 및 소유자 정보를 공유합니다. 둘 중 하나의 권한이나 소유자가 변경되면 나머지도 동일하게 변경됩니다. - 소프트링크 소프..

리눅스 2023.08.18

[ Linux ] kill -9 명령이란?

kill -9 해당 명령은 리눅스와 유닉스 기반 시스템에서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하는 명령입니다. 이 명령은 프로세스를 중단시키는데 가장 강력한 방법 중 하나이며, 종료될 프로세스가 어떤 상태에 있던 간에 프로세스를 종료시킵니다. 즉 "조건따지지 말고 최대한 빨리 종료시켜라." 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고 보면 이해가 쉽습니다. 일반적으로 `kill` 명령은 프로세스에 시그널을 보내어 프로세스를 종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9` 옵션은 SIGKILL 시그널을 의미합니다. SIGKILL은 프로세스가 시그널을 무시하거나 처리하지 않고 즉시 종료되도록 하는 시그널로, 데몬 프로세스나 다른 일반적인 종료 방법으로 종료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하지만 `kill -9` 명령을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이..

리눅스 2023.08.18

리눅스 프로세스 상태 확인 - PS 명령어

ps [ option(s) ] option(s) 에는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넣을 수 있다. -a : 시스템을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의 프로세스 출력. (aux 와 같이 u, x옵션과 함께 사용) -u : 프로세스 소유자에 대한 상세 정보 출력 -l : 프로세스 관련 상세 정보 출력 -x : 터미널에 로그인한 후 실행한 프로세스가 아닌 프로세스들도 출력함. 주로 데몬 프로세스 (daemon process)까지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함. 본래 ps 명령은 현재 쉘(shell)에서 실행한 프로세스들만 보여주기 때문에 이 옵션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 -e : 해당 프로세스와 관련한 환경 변수 정보도 함께 출력 -f : 프로세스 간 관계 정보도 출력 데몬 프로세스 (Daemon process) : daemon 은 ..

리눅스 2023.08.18

포그라운드와 백그라운드란 ?

포그라운드(Foreground)와 백그라운드(Background)는 컴퓨터 프로세스의 실행 및 관리 상태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1. 포그라운드 (Foreground) 포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는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프로세스입니다. 이 프로세스는 화면에 출력되며,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들이고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작업을 수행합니다. 대부분의 인터랙티브한 프로그램들은 포그라운드에서 실행되며,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화면에 결과를 표시하거나 입력을 받아들입니다. 쉘(Shell)에서 해당 프로세스를 수행할 동안 다른 동작은 할 수 없는 상태이며,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이 실행되어 결과가 출력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터미널에서 명령어를 입력하고 실행되는 명령은 포그라..

리눅스 2023.08.18

[ Linux ] 접근 권한과 파일의 종류 확인하기.

1. 파일/디렉터리의 접근 권한 설명 1) 읽기(r) :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파일, 서브 디렉터리 목록을 볼 수 있다. 디렉터리의 경우, 디렉터리 내의 파일 및 서브디렉터리 목록을 볼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한다. 읽기 권한은 파일 내용을 볼 수 있도록 해주며, 디렉터리의 경우 내용을 열람하거나 파일 목록을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읽기 권한은 파일의 내용을 변경하지 않으며, 디렉터리의 경우 내용을 추가하거나 변경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2) 쓰기(w) : 파일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고, 파일의 이름을 변경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디렉터리에 파일, 서브 디렉터리를 생성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디렉터리의 경우, 새로운 파일이나 서브디렉터리를 생성하거나 기존 파일 및 디렉터리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쓰..

리눅스 2023.08.18

[리눅스/linux] cp 명령으로 새로운 파일 복사하기.

리눅스에서 cp 명령어는 copy의 줄임말로 말 그대로 무언가를 복사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cp [파일명1] [파일명2] 해당 명령어는 기존에 존재하던 파일을 복사해서 다른 이름을 가진 파일을 생성할 때 주로 사용된다. 특히 중요한 문서를 편집기로 고쳐 사용할때 cp apple.yaml apple-backup.yaml 으로 백업파일을 만들어두고 일을 진행할 수도 있다.

리눅스 2023.06.10

Docker의 Bash 컴플리션 스크립트란?

Docker CLI(Command Line Interface)에서 Bash 셸에서 명령어를 자동 완성하기 위한 스크립트다. 이 스크립트를 사용하면 Docker 명령어를 입력할 때 탭 키를 누르면 가능한 명령어, 옵션, 컨테이너 이름 등을 자동으로 완성할 수 있습니다. Bash 컴플리션 스크립트는 Docker 설치 시 함께 제공되며, 주로 /etc/bash_completion.d/docker.sh 경로에 위치한다. \이 스크립트는 Bash 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셸의 환경 설정 파일 (예: ~/.bashrc, ~/.bash_profile)에 포함시켜 로드할 수 있다. Bash 컴플리션 스크립트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Docker CLI의 명령어 자동 완성: docker..

리눅스 2023.05.23

yum 이란?

'yum'은 CentOS 또는 Red Hat Enterprise Linux (RHEL) 에서 패키지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패키지 관리지다. `yum`을 사용하면 쉽게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설치, 업데이트, 제거, 검색할 수 있다. `yum`은 미리 설정된 리포지토리에서 패키지를 가져와서 시스템에 설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 패키지 검색: `yum search ` - 패키지 설치: `yum install ` - 패키지 업데이트: `yum update ` - 패키지 제거: `yum remove ` - 패키지 정보 표시: `yum info ` - 리포지토리 추가/제거: `yum repository add/remove`

리눅스 2023.05.22

EPEL (Extra Packages for Enterprise Linux) 리포지토리 란?

EPEL 리포지토리는 CentOS 또는 Red Hat Enterprise Linux (RHEL)과 같은 시스템에 추가 패키지를 제공하는 공식적인 외부 저장소다. 이 저장소를 설치하면 시스템에 EPEL 패키지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믿을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며 시스템에 추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기본 CentOS 또는 RHEL 리포지토리에는 포함되지 않는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패키지들이 EPEL 패키지로 제공된다. 이 패키지들은 보다 최신 버전의 소프트웨어, 추가 도구, 유틸리티 등을 포함되어 있다. EPEL 패키지는 Ansible, Nginx, Docker, Git, Python 라이브러리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EPEL 리포지토리를 설치하면 이런 패키지들을..

리눅스 2023.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