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기초 지식 55

Boto3 란?

Boto3는 파이썬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Amazon Web Services (AWS)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입니다. Boto3는 AWS 서비스와의 통합을 간편하게 처리하며, AWS 클라우드 서비스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Boto3 라이브러리는 AWS 서비스의 API 호출을 수행하고, 리소스 생성 및 관리, 데이터 다운로드 및 업로드, 서비스 설정 변경 등을 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Boto3를 사용하여 Amazon S3 버킷에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EC2 인스턴스를 시작하고, AWS Lambda 함수를 생성 및 관리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Boto3는 AWS의 다양한 서비스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API 호출을 제공하며, ..

Throttling(쓰로틀링) 현상이란?

Throttling(쓰로틀링)은 일반적으로 PC, 노트북, 모바일 기기의 CPU, GPU 등이 지나치게 과열될때 기기의 손상을 막고자 클럭과 전압을 강제적으로 낮추거나 강제로 전원을 꺼서 발열을 줄이는 기능입니다. 성능을 강제로 낮춘다는 점에서 거부감이 들 수 있으나, 발열을 제대로 제어할 수 없게 되면 기기의 수명과 배터리에 악영향을 주게 되므로 꼭 필요한 기능이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발열에 취약한 스마트폰/태블릿/노트북 등은 필수적으로 스로틀링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같은 사양의 노트북이 데스크톱에 비해 성능이 떨어지는 이유도 방열성능이 떨어져 그만큼 스로틀링이 빨리오거나, 부품 보호를 위해 스로틀링의 임계값이 낮게 세팅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C, 노트북과 같이 쿨링팬과 히트싱크 구조를 가지고..

HDD와 SDD의 차이

오늘날 개인 저장소로 주로 활용되는 것은 크게 HDD와 SSD입니다. HDD는 자기적 방식, SSD는 전기적 방식의 원리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저장 방식의 차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HDD와 SSD의 차이를 이해하기 쉽게 예시와 함께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HDD (Hard Disk Drive) 과거에 많이 사용되었던 LP판 동작과 유사합니다. LP판이 돌아가면 축음기 바늘이 LP판에 새겨진 진동 정보를 소리로 전달하는 것처럼 HDD도 정보를 저장하는 플래터와 정보를 찾는 해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헤드가 플래터의 정보를 읽어서 컴퓨터에 전달하거나 컴퓨터가 보내는 신호를 플래터에 저장하게 됩니다. 이때 플래터는 자성 물질로 되어 있어서 내부의 작은 자석이 정렬되어 있으면 1, 정렬되어 있지 않아서 자기 신호를..

IOPS란?

IOPS는 "Input/Output Operations Per Second"의 약자로, 컴퓨터 또는 저장 장치의 성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IOPS는 초당 처리되는 I/O의 개수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보통 저장장치의 속도를 나타낼때의 측정 단위가 되면 이는 데이터 스토리지 장치의 성능을 측정할 사용됩니다. IOPS가 100이라고 하면 1초에 100 X 블럭 크기 만큼의 IO가 가능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IOPS를 예시로 설명하면: 가정해 봅시다. 당신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HDD)와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SD) 두 가지 다른 유형의 저장 장치를 가지고 있다고 합시다. 이 두 드라이브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데 얼마나 빠르게 작동하는지를 측정할 때 IOPS가 유용합니다...

465, 587 포트 차이

먼저 포트 465 및 587은 모두 이메일 전송에 사용되는 포트(ex 도로나 경로)입니다.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와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두 포트 간에는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포트 465번 (SMTPS) 465 포트는 이메일을 안전하게 보내는 데 사용되는 포트입니다. 즉, SMTP용으로 SMTP 암호화 전에 SMTP 암호화가 자동으로 시작됩니다. 데이터는 SSL (Secure Sockets Layer) 또는 TLS (Transport Layer Security) 프로토콜을 통해 암호화되어 보안성이 높습니다. 이 포트를 이용하게 되면 보안 연결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메일이 도착하는 동안, 누군가가 데이터를 엿보거나 변조할 수 없도록 안전하게 보호됩니다...

rDNS란?

rDNS는 "Reverse DNS"의 약어로, 역방향 도메인 이름 시스템(Reverse Domain Name System)을 가리킵니다. 역방향 DNS는 일반적인 DNS와는 반대로 IP 주소에서 도메인 이름을 찾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인 DNS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지만, 역방향 DNS는 IP 주소를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합니다. rDNS는 주로 네트워크 관리와 보안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어떤 IP 주소가 어떤 도메인 또는 호스트 이름과 연관되어 있는지 확인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스팸 필터링, 로그 분석, 서버 구성 및 보안 검사와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 작업에서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rDNS 레코드는 일반적으로 PTR (Pointer) 레코드로 알려져 있으며, ..

가상화란 무엇일까?

클라우드 컴퓨팅을 공부하게되면 가장 먼저 "가상화"라는 개념을 접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 가상화라는 개념은 의미가 모호하기 때문에 해당 개념을 처음 접한 사람들은 아마도 왜 가상화를 굳이 이용을 하고, 어떻게 가상화가 되는지와 같은 궁금증이 생기기가 쉽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필자기 이해한 가상화가 무엇인지에 대해 정리를 한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의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가상화란 무엇인가? 가상화는 컴퓨터 리소스를 추상화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추상화란? 1개의 자원을 여러개로 나눌 수 있는 것처럼 여기거나, 여러개의 자원을 하나인 것처럼 생각하는 과정들을 의미합니다. 컴퓨팅 자원들을 실물의 영역이 아니라, 개념적이고 논리적인 영역으로 관점을 바꿔 '추상적으..

가상화 클라우드 컴퓨팅에서의 에뮬레이션이란?

https://pyrasis.com/book/TheArtOfAmazonWebServices/Chapter01/01 PYRASIS.COM: 아마존 웹 서비스를 다루는 기술 1장 - 1. 가상화와 클라우드 컴퓨팅 저작권 안내 책 또는 웹사이트의 내용을 복제하여 다른 곳에 게시하는 것을 금지합니다.책 또는 웹사이트의 내용을 발췌, 요약하여 강의 자료, 발표 자료, 블로그 포스팅 등으로 만드는 것을 금 pyrasis.com 해당 서적을 찾아 클라우드 공부를 하던중, 에뮬레이션이라는 단어가 나와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가상화 기술에서 하드웨어와 명령어를 모두 에뮬레이션한다는 것은 가상화 환경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말입니다. 이 경우 "에뮬레이션"은 가상 머신(VM)이나 컨테이너와 같은 가상 환경 내에서 다른 하드웨..

로드 벨런서란 ? (LB)

트래픽이 많은 최신 웹사이트는 클라이언트의 수많은 동시 요청을 처리하고 텍스트, 이미지 등을 안정적인 방식으로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대규모 트래픽이 발생하는 사이트들은 서버를 확장에서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그 방법으로는 수직적 확장, 수평적 확장 2가지가 있다. * 확장 방법인 scale-out, scale-up을 확인하려면 아래 글을 참고하기! https://ssoontory.tistory.com/279 스케일 아웃(Sclae-out)과 스케일 업(Scale-up)의 차이 두 방법은 모두 대용량 트래픽으로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서버에 부하가 걸렸을 때 조치할 수 있는 인프라 확장 방법들이다. 둘의 확장 방법이 어떻게 다른지 아래에서 알아보도록 하자. 💡 스 ssoontory.tistory.com..

스케일 아웃(Sclae-out)과 스케일 업(Scale-up)의 차이

두 방법은 모두 대용량 트래픽으로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서버에 부하가 걸렸을 때 조치할 수 있는 인프라 확장 방법들이다. 둘의 확장 방법이 어떻게 다른지 아래에서 알아보도록 하자. 💡 스케일 아웃이란? Scale-out : 서버의 개수를 늘리는 것 스케일 아웃은 기존 서버가 용량이나 성능의 한계에 달했을 경우, 기존 서버와 같은 사양 또는 비슷한 사양의 '서버 대수'를 추가하여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트래픽을 분산하여 서버의 부하를 분담할 수 있게 된다. (로드벨런싱) 클라우드 서비스에서는 자원 사용량을 모니터링해서 자동으로 서버를 증설(Scale Out)하는 Auto Scaling 기능도 있다. 처음에 이해가 어렵다면, 단순하게 개수를 늘리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개수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