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JAVA] String.format() - 문자열 형식 지정[ DEV ] Backend/JAVA 2022. 11. 9. 11:47
📖 String.format() - 리턴되는 문자열의 형태를 지정. 서식 문자열 앞에 %를 붙여서 문자열에 사용하면 그 위치에 변수의 값을 형식화해서 대입가능!! 문자열 형식을 지정하는 방법... 하나 생각나는게 있다. System.out.pfintf 를 이용하는 것! System.out.printf("두 점 A%s, B%s 사이의 거리 : %.2f",p1.toStr(),p2.toStr(), dist); String toStr(){ return String.format("(%d,%d)",x,y); } 둘의 차이점을 이야기 해보면 System.out.pfintf은 출력까지 책임져주고, String.format() 는 변수에 저장해서 변수를 출력하는 메소드를 돌리지 않는 이상 출력은 되지 않는다고 보면 된다.
-
[오류해결] java.util.IllegalFormatConversionException: d != java.lang.String[ DEV ] Backend/JAVA 2022. 11. 9. 10:36
💻 d != java.lang.String 원인은 적절한 형식을 설정하지 않았기 때문!!! 변수 nation 은 String 값이고, sum은 int값인데 형식 설정이 잘못되었다. System.out.printf("%d -> %s points\n",nation,sum); 이 오류는 적절한 형식으로 지정해주면 해결이 된다. 문자열형식은 %s로 %d에 정수형을 !!!! void printTeamPoint(){ int sum = 0; for (int i = 0; i %d points\n",nation,sum); } } 다시 오류를 수정해주니 값이 나오는 것을 확..
-
-
스프링 부트 개념정리 (7)_ 롬복과 리팩터링[ DEV ] Backend/스프링부트 2022. 10. 13. 16:09
*아래 학습 내용 출처는 유튜브 홍팍님 채널입니다. 이번 강의 이후에는 멤버십 전용 강의이기 때문에, 이후 학습하는 스프링 개념 정리는 비공개 처리 해서 올릴 예정입니다! * 1. 롬복이란? Lombok = 코드를 간소화 시켜주는 라이브러리 2. 롬복의 개념? - 롬복을 사용하면 여러 필수 코드의 반복을 최소화 할 수 있다. - 로깅 기능을 통해 println 또한 개선, 즉 리펙토링 할 수 있다. 리펙토링이란 코드의 구조, 성능을 개선하는 작업을 말한다. 로깅은 프로그램의 수행과정을 기록으로 남기는 것을 말한다. 이번 실습에서는 롬복을 통해 늘어진 코드를 간소화 하고, println 메소드를 logging 으로 변환해보겠다. 3. 롬복 라이브러리 추가하기 🐘 build.gradle 을 이용해서 롬복을 ..
-
스프링 부트 개념정리 (6)_ DB테이블과 SQL[ DEV ] Backend/스프링부트 2022. 10. 13. 14:39
이번 강의 미션은 저장된 데이터를 직접 DB에서 확인하는 미션이었다. 1. 테이블의 구조 테이블은 행(Raw)과 열(Column)로 구성되어 있다. 지난 강의에서 만들어 보았던 Article을 예를 들어 테이블 구성을 보면 이렇다. 2. SQL과 CRUD 데이터의 CRUD 처리는 DB내에서 SQL 언어를 이용해서 처리가 된다. 가장 기본이 되는 문법에는 Insert(Create), Select(Read), Update(Update), Delete(Delete) 가 있다. 3. H2 DB 접속 설정 src >> main >> java >> resources 이렇게 설정을 해주고, localhost:8080/h2-console 로 접속해준다. JDBC URL 이 계속 바뀌기 때문에 주소를 찾아주어야 한다. ..
-
스프링 부트 개념정리 (5)_ JPA로 데이터 생성[ DEV ] Backend/스프링부트 2022. 10. 13. 12:59
* 개인적으로 리뷰하려고 적은 글. 자세한 내용은 유튜브 홍팍님 채널에 가면 관련 강의들이 많이 있습니다! * JPA를 활용해서 DB에 데이터를 생성하기. 폼 데이터를 컨트롤러로 받아오고, 받아와진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까지 저장하는 방법을 배웠다. 이번 강의에는 DB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을 학습했다. DB에 데이터를 기록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여기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DB는 자바언어를 모른다. 대신 SQL이라는 언어를 사용한다! JAVA를 이해하지 못하는 DB에게 어떻게 명령을 할까? 이때 사용하는 것이 JPA이다. JPA는 자바 언어를 DB가 이해할 수 있게 해줄 뿐 아니라, 데이터 관리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한다고 한다. JPA의 핵심 도구에는 Entity와 Repository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