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EV ] Backend/스프링부트
-
스프링 부트 개념정리 (4)_ form 데이터[ DEV ] Backend/스프링부트 2022. 10. 6. 21:56
❔ 폼 데이터란? - html 요소인 폼 태그에 담긴 데이터이다. 인터넷을 하다 사용하는 게시판에 사용하는게 폼 태그다. 폼 태그란, 택배에 비유할 수 있다. 수령자가 누구인지 , 배송이 당일배송인지 택배에 적는 것 처럼, 에도 어디로 보낼지, 어떻게 보낼지를 적어주어야 한다. 이렇게 적혀진대로 폼 데이터는 전송이 되고, Controller는 이를 객체에 담아 받는다. 이때 폼 데이터를 받는 객체, 이를 DTO라고 한다. * DTO(Data Transfer Object) 프로세스 사이에서 데이터를 운반하는 객체(object)를 말한다. Dao나 Service처럼 로직을 가지고 있지 않고, 오직 getter/setter 메서드 만을 갖는다. 즉 Dto 는 Dao 가 데이터 베이스(DB)에서 얻어온 데이터를..
-
스프링 부트 개념정리 (3) _ 뷰 템플릿과 레이아웃[ DEV ] Backend/스프링부트 2022. 10. 6. 20:31
*아래 내용은 강의를 들으며 개인 리뷰용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출처를 통해 강의 참고해주세요! 레이아웃이란? 화면의 요소를 배치하는 것이다. 어떻게 레이아웃을 잡느냐에 따라 다른 느낌을 준다. 이번에 정리할 내용은 뷰 템플릿(View Templates) 페이지에 헤더-푸터 레이아웃을 적용할 것이다. 해더 - 푸터 레이아웃은 가장 기본이 되는 레이아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보통 header 에는 사이트 안내를 위한 navigation 을 넣고 footer에는 사이트 정보(information)을 제공한다.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템플릿화 해서 해더랑 푸터로 나눈 예시. ( 해더 푸터에 대한 필요한 내용은 Bootstrap 사이트에서 복붙하면 좋다! ) {{>layouts/header}} ..
-
스프링 부트 개념정리 (2)_ View Templates, Controller[ DEV ] Backend/스프링부트 2022. 10. 6. 19:21
웹페이지의 변수를 활용하는 View Templates View Templates이란 화면을 담당하는 기술이다. ( "Mustache" 라는 도구가 View Templates 를 만드는 도구다. ) 이 셋을 우리는 'MVC패턴' 이라고 한다. View templates (main > resources > templates)에 파일을 만들어 준다. 확장자를 mustache로 만들어줘야 함! ex) file name -> greeting.mustache 이렇게! view templates 에 코드를 작성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보자! page를 보기 위해서 Controller 를 만들어 준다. Controller java > 기본 패키지 (com.example패키지) 에 새로운 패키지를 생성해준다! (이해를 돕..
-
스프링부트 개념 정리 (1)[ DEV ] Backend/스프링부트 2022. 10. 6. 18:16
💡 스프링부트란? 프로그램 개발을 햄버거 가게이 빗대어 설명해보자. 💻 🔁 🍔 만약, 햄버거 가게를 차리려고 하는데 관련 경험이 없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햄버거 가게 알바를 통해서 차근차근 배워 가면 된다. 👨🏻🍳 하지만, 시간과 시행착오를 줄이는게 베스트. 🕰⬇️ 좋은 방법이 없을까? 바로 누군가의 레시피와 노하우들이 집약된 프렌차이즈를 활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프로그램도 마찬가지다. 자바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노하우가 응축되어 있는게 스프링부트!! 스프링 부트를 사용하면 보다 빠르고 쉬운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원하는 레시피들을 찾고 내 것으로 만들면 끝! 💡 웹서비스의 동작 원리 웹서비스는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응답 요청으로 동작. 클라이언트란, 서비스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컴퓨터 서버,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