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지식
-
[ Linux ] SAMBA 구현하기 (by Vmware)CS 지식/리눅스 2023. 3. 24. 11:20
https://it-serial.tistory.com/entry/Linux-%EB%A6%AC%EB%88%85%EC%8A%A4-%EC%9C%88%EB%8F%84%EC%9A%B0-%ED%8C%8C%EC%9D%BC-%EA%B3%B5%EC%9C%A0-samba%EC%82%BC%EB%B0%94-%EC%84%9C%EB%B2%84-%E2%91%A0 아파치를 설치하는 등의 초기 세팅은 생략. ( 추후 올릴 수 있으면 올려보는걸로... ) selinux는 리눅스 보안과 관련된 기능이다. # sestatus - selinux가 disabled임을 확인해줘야함!! - 만약 sestatus를 했을때 enforcing 이라고 뜨면 꼭 disable로 바꿔주자. - 바꾸는 법은 # vi /etc/selinux/config 입력 ..
-
프로비저닝이란 (provisioning)CS 지식 2023. 3. 23. 17:13
클라우드 공부를 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프로비저닝이라는 단어를 심심치 않게 읽어볼 수 있었을 것이다. 프로비저닝이라는 말의 의미는 한국어로 보는 것 보다는 영어로 보는게 더 이해하기 쉬울듯 하다. provistioning , 말 그대로 제공하는 것 IT 인프라를 구축하는 초기단계에서 다양한 자원에 접근하기 위한 시스템을 manage하기 위해 필요한 단계들을 제공한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이런 단계에서 우리가 받게 되는 것들에는 서비스나 자원이 있을 수 있다. 개념을 알아도 구체적으로 실무에서 어떤 것들을 제공받는지 감이 오지 않았다. 그래서 더 검색 해보니 아래와 같은 것들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출처 : https://jins-dev.tistory.com/entry/%ED%94..
-
GUI란 (feat. CLI)CS 지식 2023. 3. 22. 21:07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지유아이. GUI는 그래픽 기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입출력 등의 기능을 알기 쉬운 아이콘 따위의 그래픽으로 나타낸 것이다. 단순하게 웹이나 앱에서 보여지는 아이콘 뿐 아니라 가전제품, 게이밍툴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GUI에 대해 들어보았다면 CLI와 함께 이 개념을 알아두면 좋다. CLI (Command Lind Interface, 명령어 기반의 인터페이스) 처음 컴퓨터를 접하다보면 GUI가 좀 더 프로그램을 다루기 쉬운 툴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커맨드를 손에 익히다보면 마우스로 하나하나 눌러 선택하는 작업보다 간단한 커맨드로 툴을 사용하는 방법이 더 수월하다고 ..
-
IT 인프라의 유형 _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CS 지식 2023. 3. 22. 20:35
On-Premise & Public Cloud [ On-Premise ] 기업이 자체 데이터 센터를 보유하고, 그 안에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 등을 구축하고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방식을 의미. (데이터 센터의 rack을 빌리기도함)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이 나오기 까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이었으며, 기업이 직접 구축한 Private Cloud 도 On-Premise 환경에 속한다. 데이터센터의 관리 (향온향습기, 전력시스템 등) 부터 물리 시스템 구축 및 운영까지 관리 범위가 넓다. [ Public Clound ] 클라우드는 온(on)프레미스와 반대로 오프(off)프레미스라고도 한다. 인프라는 Cloud Service Provider(CSP) 에서 구축하고 운영관리 한다. 어느 기업이든 클라우드 이용을 원..
-
[Linux] 삼바 (SAMBA) 그게 뭔데.CS 지식/리눅스 2023. 3. 12. 19:31
아무것도 모르는 채로 8시간 동안 교수님의 삼바삼바 이야기만 듣다가 집에 와서 제대로 공부하며 친구를 만나기 전 시간이 남아 카페에서 오늘 들은 수업을 복기해 본다….. 비전공자 티 내기 싫어서 일단 수업은 클론코딩하듯 따라가긴 했는데, 머릿속에 남은 게 1도 없어 현타가 오는 하루다. 그래서 삼바가 뭔데? 삼바(Samba) 삼바는 쉽게 이야기 해서 시스템간 자원을 공유를 돕는 프로그램이다. 마이크로 소프트와 인텔은 윈도(Windows) 시스템이 다른 시스템의 디스크나 프린터 등의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Server Message Block(SMB) 라는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는데, 삼바란 이 SMB 프로토콜을 이용해 리눅스와 윈도는 하드디스크 및 운영체제나 자료를 공유할 수 있도록 만든 프로그램이다. 예..
-
ssh 를 활용해서 키를 복사해주기CS 지식 2023. 3. 10. 11:33
새로 구축을 하기 위해서 키를 다시 web로 보내주려고 한다. 우선 키가 있는지를 확인해보기 위해서 #ls -al 명령어를 사용해준다. # ls .ssh 명령어를 이용해서 해당 파일로 들어가 키가 있는지 확인해주면 된다. id_rsa 라는 키가 들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제 ssh를 활용해서 원하는 web으로 복사해주는 작업을 해보자. ssh 뒤에 뭘 써야할지 모른다면, ssh 치고 엔터를 들어가게 된다면 ssh패키지에 들어있는 명령어들을 확인해볼 수 있다. 복사된 키를 이용해 원하는 곳으로 들어가주면 된다.
-
.config 파일이란?CS 지식/리눅스 2023. 3. 9. 20:48
config란 configuration(환경 설정)을 줄인 말이다. 프로그램의 매개 변수나 초기 설정 등을 구성하는 데 사용하기 때문에, 설정이나 프로그램의 실행 일부 등을 저장해둔 파일이다. 비슷한 파일 확장자로 ini 같은 확장자가 사용된다. ini파일은 주로 글자로 저장되며, config 파일은 주로 XML이나 JSON으로 저장된다. 모두 텍스트 형식의 파일로 프로그램을 만들고자 할 때 어떤 확장자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다만, 이미 동작하는 확장자를 사용자가 섞어 버리면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