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지식/리눅스
-
[ linux ] 네트워크 설정CS 지식/리눅스 2023. 3. 31. 22:50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관리를 하다보면 DHCP 설정과 nmcli 명령어등를 사용하게 되는데 정확히 뭔지도 모르고 무작정 복붙하다보니 이해가 가지 않아 블로그에 정리를 하게 되었다. 네트워크 관리 네트워크 관리를 위해서는 ip, netmask, gateway 3가지를 알아야 한다. nmcli 명령어를 사욯해서 동적 연결 및 정적 연결을 진행할 것이다.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 nmcli (Linux Network Manager 제어 명령어) netstat -nr (gateway 상태 확인 명령어) ifconfig (ip 확인 명령어) nmcli 명령어 nmcli 명령어는 NetworkManager 를 cli 로 제어하고, 현재 네트워크 디바이스(인터페이스) 및 커넥션의 상태를 알려주는 명령어이다. * Netwo..
-
DNS 구현 및 개념 정리CS 지식/리눅스 2023. 3. 29. 14:25
DNS (Domain Name System) 란? DNS 서버 도메인 네임 시스템이다. DNS는 보유한 도메인을 관리해주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클라이언트에서 도메인명에 대한 IP 주소의 조회를 요청했을 경우에 반환해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즉, 도메인 네임 시스템은 호스트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변환을 위해서 개발되었다. IP 주소 기반의 인터넷 체계에서 도메인명 기반으로 이용하려면 필수적으로 구성해야 하는 것이 DNS 서버이다. 이렇게 설명해서 DNS가 무엇인지 확실히 와닿지 않을 수도있다. DNS 서버 설정의 핵심은 /etc/named.conf 파일과 zone파일이다. /etc/named.conf 파일에서 DNS서버의 환경에 대해 설정을 하고, 운영하는 도메인에 대한 존 파일 및..
-
[Linux] NFS 개념 및 구현과정 정리CS 지식/리눅스 2023. 3. 24. 19:59
NFS (Network File System)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Network File System, NFS)은 1984년에 썬 마이크로시스템즈(Oracle 인수)가 개발한 프로토콜이다. TCP/IP 네트워크상에서 다른 컴퓨터의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고 공유하여 상대방의 파일 시스템 일부를 마치 자기 자신의 디렉터리인 것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NFS는 NIS(사용자 인증 정보등을 가지고 있는 시스템)와 더불어 RPC(Remote Procedure Call) 기반으로 작동되므로, 해당 서비스를 해주는 rpbind 데몬을 먼저 실행시켜야 한다. 또한 NFS는 사용이 편리한 대신에 보안에 상당히 미약하기 때문에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IP를 통한 접근 제어는 가능하나 계정을 통한 접근제어는 안되..
-
[ Linux ] SAMBA 구현하기 (by Vmware)CS 지식/리눅스 2023. 3. 24. 11:20
https://it-serial.tistory.com/entry/Linux-%EB%A6%AC%EB%88%85%EC%8A%A4-%EC%9C%88%EB%8F%84%EC%9A%B0-%ED%8C%8C%EC%9D%BC-%EA%B3%B5%EC%9C%A0-samba%EC%82%BC%EB%B0%94-%EC%84%9C%EB%B2%84-%E2%91%A0 아파치를 설치하는 등의 초기 세팅은 생략. ( 추후 올릴 수 있으면 올려보는걸로... ) selinux는 리눅스 보안과 관련된 기능이다. # sestatus - selinux가 disabled임을 확인해줘야함!! - 만약 sestatus를 했을때 enforcing 이라고 뜨면 꼭 disable로 바꿔주자. - 바꾸는 법은 # vi /etc/selinux/config 입력 ..
-
[Linux] 삼바 (SAMBA) 그게 뭔데.CS 지식/리눅스 2023. 3. 12. 19:31
아무것도 모르는 채로 8시간 동안 교수님의 삼바삼바 이야기만 듣다가 집에 와서 제대로 공부하며 친구를 만나기 전 시간이 남아 카페에서 오늘 들은 수업을 복기해 본다….. 비전공자 티 내기 싫어서 일단 수업은 클론코딩하듯 따라가긴 했는데, 머릿속에 남은 게 1도 없어 현타가 오는 하루다. 그래서 삼바가 뭔데? 삼바(Samba) 삼바는 쉽게 이야기 해서 시스템간 자원을 공유를 돕는 프로그램이다. 마이크로 소프트와 인텔은 윈도(Windows) 시스템이 다른 시스템의 디스크나 프린터 등의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Server Message Block(SMB) 라는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는데, 삼바란 이 SMB 프로토콜을 이용해 리눅스와 윈도는 하드디스크 및 운영체제나 자료를 공유할 수 있도록 만든 프로그램이다. 예..
-
.config 파일이란?CS 지식/리눅스 2023. 3. 9. 20:48
config란 configuration(환경 설정)을 줄인 말이다. 프로그램의 매개 변수나 초기 설정 등을 구성하는 데 사용하기 때문에, 설정이나 프로그램의 실행 일부 등을 저장해둔 파일이다. 비슷한 파일 확장자로 ini 같은 확장자가 사용된다. ini파일은 주로 글자로 저장되며, config 파일은 주로 XML이나 JSON으로 저장된다. 모두 텍스트 형식의 파일로 프로그램을 만들고자 할 때 어떤 확장자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다만, 이미 동작하는 확장자를 사용자가 섞어 버리면 안 된다.
-
[Linux] 리눅스 파티션의 종류CS 지식/리눅스 2023. 3. 5. 23:06
💡 리눅스 파티션 종류 리눅스에는 세 가지 종류의 파티션이 있다. 1. Primary Partition (주 영역 파티션) - 부팅 가능한 파티션으로 하드 디스크에 하나 이상 존재해야 한다. - 하나의 물리적 디스크에 총 4개까지 만들 수 있고, 파티션 번호로 1~4번이 할당된다. - Extend Partition을 사용할 경우에 실질적으로 사용 가능한 Primary Partition은 3개가 된다. 2. Extended Partition (확장 영역 파티션) - Extend Partition은 하나의 물리적 디스크에 1개만 생성할 수 있다. - Extend Partition은 Primary Partition 영역 내에 대체해서 사용하는 것이므로 파티션 번호도 1~4번이 할당된다. - Extend P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