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지식/리눅스
-
[Linux] 리눅스 파티션의 개념CS 지식/리눅스 2023. 3. 5. 13:48
💡 파티션이란? 파티션(Partition)이란 분할, 칸막이라는 뜻으로 컴퓨터 분야에서는 하드 디스크의 공간 분할을 의미하는 것으로 디스크 드라이브의 기억 공간을 별도의 데이터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말한다. 쉽게 비유하면 어떠한 땅의 구획을 나눠 여러가지 용도로 분리해서 사용하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00평 의 땅을 소유하고 있는데, 논으로 800평을 사용하고 밭으로 200평을 사용하기 위해 구역을 설정하는 것이 일종의 파티션 분할이라고 할 수 있다. 기술적인 의미의 파티션은 하나의 물리적 디스크를 여러 개의 논리적인 디스크로 분할하는 것을 의미한다. 분할된 파티션은 하나의 독립적인 디스크로 간주되어 블록(Block)과 파일 시스템 구성 등을 독자적으로 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정책들..
-
[linux] 리눅스의 특징CS 지식/리눅스 2023. 3. 5. 12:03
리눅스의 프로그램적 특징 다중 사용자 및 다중 처리 시스템 -하나의 시스템에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시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고 (=Mutli-User), 각 접속자들은 다수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Multitasking) 완전히 공개된 시스템 - 운영체제의 핵심인 커널(Kernel) 뿐만 아니라, 같이 내장되어 배포되는 응용프로그램 대부분은 소스가 공개된 프로그램이다. 뛰어난 네트워크 환경 - 가장 널리 쓰이는 이더넷(Ethernet), SLIP, PPP, ATM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을 지원하며, TCP/IP, IPX, AppleTalk 등 대부분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다양한 파일 시스템 지원 - 리눅스는 프로그램과 자료를 저장하기 위해 리눅스 고유의 파일 시스템인 ext2, ..
-
[Linux] 리다이렉션(Redirection, 재지향)CS 지식/리눅스 2023. 3. 5. 12:03
리다이렉션(Redirection, 재지향) 기본적으로 프로그램은 연산 결과를 출력 장치( 파일, 모니터, 프린터 등)로 보내는데, 이 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의로 다른 장치로 보내는 것을 리다이렉션, 즉 재지향이라고 한다. 다시 말해 프로그램이나 파일 명령어 등의 출력을 낚아채서 다른 파일이나 프로그램 명령어의 입력으로 보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리다이렉션은 어떤 프로세스의 입/출력을 표준 입출력이 아닌 다른 입출력으로 변경할 때 사용한다. 사용법 실습 예제 https://gracefulprograming.tistory.com/100 ex) test.txt 파일의 출력을 test.out 파일로 저장 cat test.txt > test.out ex) today.log 파일의 출력을 week.log 파일의..
-
[Linux] 파이프 문자CS 지식/리눅스 2023. 3. 5. 11:47
파이프(Pipe) 파이프는 프로세스의 통신을 위해 도입한 것으로 어떤 프로세스의 출력이 다른 프로세스의 입력으로 쓰이게 하는 것을 말한다. 리눅스에서 파이프는 | 기호를 사용하고, 여러 개를 사용하면 파이프라인(Pipe-Line)을 구성하게 되면서 데이터들은 파이프라인을 따라 흐르게 된다. 결과적으로 파이프는 여러 명령을 조합할 때 사용하고 명령어와 명령어 사이에 | 기호를 사용한다. = 파이프 라인은 여러개의 명령어를 실행할 때 이전 명령어의 결과를 다음 명령어의 입력값으로 사용하고 싶을 때 사용하며, 쉘 프롬프트(Shell prompt)에서 한번에 사용 가능한 파이프의 개수는 제한이 없다. + 이전 명령어의 출력값을 필터링하거나 가공할 때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awk, cut, grep, more 등..
-
레드햇 (Red Hat) 이란?CS 지식/리눅스 2023. 3. 3. 23:50
운영체제 공부를 하며 처음 들었던 레드햇. 한번 알아보려 한다. 레드햇 (Red Hat) 레드햇(Red Hat)은 미국의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1993년 밥 영(Bob Young)이 세운 리눅스 및 유닉스 소프트웨어 액세서리를 판매하는 회사(당시 이름은 ACC Corporation)가 1995년 마크 유잉(Marc Ewing)이 만든 레드햇 리눅스(Red Hat Linux)를 인수한 데서 비롯된다. 이름은 유잉이 학교에서 쓰고 다니던 빨간 모자. 사람들이 마크 유잉을 "아 그 빨간모자 쓰고 다니던 놈"으로 기억하였고, 유잉은 자신이 만든 배포판에 레드햇이란 이름을 붙였기 때문이다. 어쨌든 유잉과 밥 영은 레드햇의 공동 창립자가 되어 현재까지 내려오고 있다. 이후 현재 이 회사의 주요 제품은 R..
-
[Linux] history 명령어 사용법 간단 정리CS 지식/리눅스 2023. 2. 28. 21:01
# history 리눅스에서 history 명령어는 아주 자주 사용되는 명령어라고 한다. history 를 입력해주면 아래와 같이 최근 사용한 명령어들을 숫자와 함께 출력해주는 것을 볼 수 있다. 단순히 history 명령어만 입력하면 줄줄이 소세지처럼 긴 페이지가 출력이 되게 되는데, 이때 명령어를 조금만 수정해주면 보기 편하게 출력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history | less 위의 명령어를 쳐주면 아래와 같이 한 페이지씩 페이지별로 출력이 되는 것을 알 수 있고, 페이지는 space 키로 넘겨볼 수 있다. history 명령어 출력할때, n개의 값만 확인하고 싶은 경우 사용하는 명령어. 이때 뒤에 n개가 출력이 된다. # history 5 history 목록 앞에 부분 n개의 라인만 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