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기초 지식/운영 체제

프로비저닝이란 (provisioning)

쑨토리 2023. 3. 23. 17:13

클라우드 공부를 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프로비저닝이라는 단어를 심심치 않게 읽어볼 수 있었을 것이다.

 

프로비저닝이라는 말의 의미는 한국어로 보는 것 보다는 영어로 보는게 더 이해하기 쉬울듯 하다. 

 provistioning , 말 그대로 제공하는 것

 

IT 인프라를 구축하는 초기단계에서 다양한 자원에 접근하기 위한 시스템을 manage하기 위해 필요한 단계들을 제공한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이런 단계에서 우리가 받게 되는 것들에는 서비스나 자원이 있을 수 있다.

 

red hat

 

 

 

개념을 알아도 구체적으로 실무에서 어떤 것들을 제공받는지 감이 오지 않았다. 

그래서 더 검색 해보니 아래와 같은 것들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출처 : https://jins-dev.tistory.com/entry/%ED%94%84%EB%A1%9C%EB%B9%84%EC%A0%80%EB%8B%9DProvisioning-%EC%9D%B4%EB%9E%80)

 

 

Server Resource Provisioning : CPU, Memory, IO 등과 같은 실제 서버의 자원을 할당해주고 운영할 수 있게 제공해주는 것을 말한다.

 

OS Provisioning : OS를 서버에 설치하고 구성작업을 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Software Provisioning : WAS, DBMS 등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세팅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Account Provisioning : 접근 권한을 가진 계정을 제공해주는 것을 말한다. 클라우드 인프라 쪽에서는 해당 업무를 담당하던 관리자가 변경된 경우 권한의 인계를 Account Provisioning 을 통해 하는 경우가 많다.

 

Storage Provisioning :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Storage 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클라우드에서는 제공하는 Storage 의 종류와 용도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제공이 이루어진다.

 

클라우드를 도입하거나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하는 것은 클라우드 Vendor 로부터 서비스를 Provisioning 받아 사용한다고 보면 된다.

 

이처럼 클라우드 사용시 각 서비스들을 용도에 맞게 세팅을 하여 환경 구성을 자동화 하는 것을 자동화 Provisioning 이라고 하며, 

 

만약 온프레미스(On premise) 환경에서 클라우드 환경으로의 이식을 준비하고 있다면 이에 많은 신경을 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