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n provisioning
- 가상 디스크가 최초 0 Byte 부터 생성 되어 사용한 만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형태
- 예를 들어 VM 생성시 100G를 할당하고 10G의 OS를 설치 했다고 했을 시 실제 차지하는 물리 디스크 용량은 10G
- 장점
- 가상디스크의 생성이 빠르고 저장공간의 절약에 유리.
- 단점
- "thick" 방식 보다 성능이 높지 않음.
- 가상 디스크에 파일을 삭제해도 파일 테이블의 index만 삭제하게 되므로 실제 물리 디스크 상에서는 줄어들지 않음.
thick provisioning
- 가상 디스크가 생성 될때 할당한 디스크 사이즈 만큼 실제 물리디스크에 할당하는 방식
- thick 방식의 두가지 유형 (lazy와 eager)
- lazy zeroed(느리게 비워지는 thick) : 가상 디스크가 생성 될때 실제 물리 디스크상에 있던 old data를 지우지 않고 생성되어 빠르게 가상디스크가 생성되는 장접이 있지만 데이터 쓰기 시에 "zeroed out"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IOPS 가 떨어짐
- 게을러서 가상 데이터에 데이터가 남아있는데 깨끗하게 지우지 않고 고정크기로 할당하기. 그리고 디스크 공간이 확보가 되면 실제로 공간이 사용될때 그때 조금씩 데이터들을 조금씩 지우고가는 방법.
- eager zeroed(빠르게 비워지는 thick): 가상 디스크가 생성될 때 실제 물리 디스크에 있던 old data를 지우고 생성 되므로 느리게 생성되는 단점이 있지만 데이터 쓰기 시에 "zeroed out" 과정을 거치지 않아 IOPS에 이점이 있음. / 처음부터 부지런히 깨끗이 지우고 내가 필요한 공간을 확보할것이냐
- 처음부터 시간이 걸리더라도 부지런히 old data를 지우고 가상디스크가 생성하기!
lazy zeroed 유형보다 eager zeroed 유형이 보안상에 이점이 있음.
- 처음부터 시간이 걸리더라도 부지런히 old data를 지우고 가상디스크가 생성하기!
- lazy zeroed(느리게 비워지는 thick) : 가상 디스크가 생성 될때 실제 물리 디스크상에 있던 old data를 지우지 않고 생성되어 빠르게 가상디스크가 생성되는 장접이 있지만 데이터 쓰기 시에 "zeroed out"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IOPS 가 떨어짐
lazy : 게으름
eager : 열렬한
사전적 의미 잘 생각해서 개념 이해하기!!!
출처:
https://ploz.tistory.com/entry/VMware-ESXi-thin-thick-provisioning
'CS 기초 지식 > 운영 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영체제에서 shell 이란? (0) | 2023.08.17 |
---|---|
프로비저닝이란 (provisioning) (0) | 2023.03.23 |
GUI란 (feat. CLI) (0) | 2023.03.22 |
운영체제란? (0) | 2023.03.03 |
리눅스 소프트 링크 (Soft Link) 및 하드 링크 (Hard Link) 개념 설명 및 실습 (0) | 2022.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