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자격증/정보처리기사 13

C언어 개념 정리 (포인터 배열)

포인터 배열은 각 요소가 포인터인 배열입니다. 해당 개념이 이해가 잘 가지 않아서 고생을 한 1인으로서... 제가 이해를 위해 공부했던 내용들을 공유드립니다.해당 개념 이해를 좀 더 잘 하기 위해 메모리 구조와 함께 해당 개념을 이해해보고자 합니다. 1. 2차원 배열의 메모리 구조2차원 배열은 메모리에서 행(row)마다 연속된 블록으로 저장됩니다.아래는 2차원 배열의 구조입니다.int matrix[3][4] = { {1, 2, 3, 4}, // 첫 번째 행 {5, 6, 7, 8}, // 두 번째 행 {9, 10, 11, 12} // 세 번째 행};2차원 배열은 메모리 상에서 다음과 같이 연속적으로 배치됩니다:낮은 주소 ────────────────────────────────..

C언어 개념 정리 (주소 연산자, 포인터 변수, 그리고 역참조 연산자)

1. 주소 연산자(&)주소 연산자 &는 변수가 저장된 메모리의 위치(주소)를 알려줍니다.간단한 비유로 설명하자면,우리의 집이 변수라고 가정하면 ->  집 = 자세한 주소우리의 집의 주소(예: 서울시 강남구 ...)가 메모리 주소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그런 의미에서 &는 "~의 주소는?"이라고 묻는 것과 같습니다.int number = 10;printf("%p", &number); // number 변수의 메모리 주소를 출력 (예: 0x7ffeeb0dbc4c) 2. 포인터 변수(*)포인터 변수는  직접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다른 변수의 위치(주소)를 가리키는 역할을 합니다. 💡 일반 변수와 포인터 변수의 차이점일반 변수: 데이터 값(예: 숫자, 문자)을 직접 저장포인터 변수: 다른 변수가 저장된 메..

OSI 7 참조 모델 중 다음이 설명하는 계층은?

-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해서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 - 통신 단위는 비트이며 이것은 1과 0으로 나타내어지는, 즉 전기적으로 On, Off 상태이다. - 데이터를 전달할 뿐, 데이터가 무엇인지 어떤 에러가 있는지 신경쓰지 않는다. → 물리계층 ※ OSI 7 참조 모델 [ 응표세전네데물 ] https://youtu.be/S7l1qX0WhqE?si=NzlF75D1Lg1plnIX

트랜잭션(Transaction)의 주요 특성 4가지

- 원자성 : 트랜잭션의 가장 기본적인 특성으로 트랜잭션 내의 연산은 반드시 모두 수행되어야 하며 그렇지 못한 경우 모두 수행되지 않아야 함. : 모두 수행이 되거나, 모두 수행이 되지 않아야 한다. - 일관성 : 트랜잭션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후 언제나 일관성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태가 되어야 하며, 결과에 모순이 생겨서는 안 됨. - 독립성 / 격리성 : 하나의 트랜잭션이 수행 중에는 다른 트랜잭션이 접근할 수 없고 각각의 트랜잭션은 독립적이어야 함. - 영속성 : 지속성이라고도 하며,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후 결과는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함.

통신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 3가지

통신 프로토콜 또는 통신 규약은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 받은 양식과 규칙의 체계이다. 프로토콜이란 무엇일까? 💡 protocol - 프로토콜은 그리스어 proto(맨 처음, 최초의) + kollen(붙이다)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즉 protocol의 어원의 의미는 '맨처음 붙이다.'라는 것이다. 예전에 protocol은 공증문서에 맨 처음에 ssoontory.tistory.com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 3가지는 다음과 같다 구문 ( Syntax ) : 데이터의 구조나 형태와 포맷을 정의 의미 ( Semantic ) : 어떤 데이터를 보낼 것인지, 얼마나 빨리 보낼 것인지를 결정 타이밍 (Timing ) : 데이터의 각 부분이 무엇을 뜻하는지 알 수 있게 미리 정해둔 규칙 구타를..

네트워크 공격 유형 중 Land Attack 이란?

Land Attack는 공격자가 패킷을 조작하여 출발지 IP와 목적지 IP 주소를 동일하게 설정하여 목표 서버에 보내는 형태의 공격입니다. 공격자가 Land Attack을 실행하면 공격 패킷이 목표 서버로 전송됩니다. 그러나 이 패킷을 받은 서버는 목적지 주소와 출발지 주소가 동일하다는 이유로 패킷을 처리하려고 시도하게 됩니다. 이 때, 서버는 자신에게 들어오는 연결 요청으로 인식하고, 서버 리소스를 사용하여 응답을 시도합니다. 그러나 응답을 보내려고 할 때 목적지 주소가 자기 자신인 것을 인식하게 되어, SYN 신호가 서버 내에서 계속해서 루프를 도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서버의 자원을 고갈시켜 서버의 가용성을 파괴하게 됩니다. 방화벽에서는 출발지와 목적지 IP 주소가 동일한 패킷을 필터링하여..

프로그램 모듈화

결합도와 응집도 (Coupling &. Cohension) - 모듈의 독립성을 판단하는 두가지의 지표이다. 결합도는 모듈과 모듈간의 상호 의존 정도, 응집도는 모듈 내부의 기능적인 집중 정도이다. - 모듈의 독립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모듈간의 상호 의존 정도를 나타내는 결합도를 낮추고, 모듈이 독립적으로 자체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응집도를 높여야 한다. ※ 결합도의 유형 ( 테스형 제 외저래 공유랑 내가 닮았대~) 구분 설명 자료 결합도 (Data Coupling)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로 값이 전달되는 경우 스템프 결합도 (Stamp Coupling)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로 배열이나 오브젝트 스트럭처 등이 전달되는 경우 제어 결합도 (Control Coupling) 단순 처리할 대상인 값만 전달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