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기초 지식 55

brew install node 란?

`brew install node`는 macOS에서 Homebrew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하여 Node.js를 설치하는 명령어입니다. Node.js는 Chrome V8 JavaScript 엔진으로 빌드된 JavaScript 런타임 환경입니다. Node.js를 설치하면 JavaScript를 서버 측에서 실행할 수 있게 되며, 많은 개발자들이 서버 측 애플리케이션 개발, 웹 개발,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자동화 스크립팅 등을 위해 Node.js를 사용합니다. Homebrew는 macOS에서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설치, 관리, 업데이트하는 명령줄 도구입니다. `brew install node` 명령을 사용하면 Homebrew를 통해 Node.js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이 명령을 실행하면 Node.js 실행..

선언적 API란?

"나 웹서버 3개가 필요해!" 라고 요청한게 선언 이 선언을 듣고 도커가 알아서 배치해서 운영함. 쿠버네티스가 현재 상태를 요청하고 세개 실행하라는 요청에 맞춰서 정상 실행이 가능한 컨테이너에 실행을 하게 함. 하드웨어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잘 돌아가도록 도와주는게 os의 역할인데, 하드웨어 위에서 애플리케이션들이 제대로 잘 도와주는게 쿠버네티스임. 따라서 쿠버네티스도 os라고 말할 수 있다.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Sj9Z6-w1VUE&list=PLApuRlvrZKohaBHvXAOhUD-RxD0uQ3z0c&index=2

node란 무엇인가?

'node'는 컴퓨팅 환경에서 하나의 독립적인 컴퓨터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 장치를 가리키는 용어다. 일반적으로 컴퓨팅 클러스터, 서버 네트워크, 또는 분산 시스템에서 노드는 작업을 수행하거나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위로 사용된다. 만약 centos-node01 1c 1g / ubuntu-node01 1c 1g 라는 문장을 받았다면, 각각 이렇게 해석해볼 수 있다. centos-node01은 CPU: 1 core , RAM: 1 GB 와 CentOS 운영체제가 설치된 독립적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내고, ubuntu-node01은 CPU: 1 core , RAM: 1 GB 와 Ubuntu 운영체제가 설치된 독립적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다. 이러한 노드들은 서버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Ansible을 사용해 구..

오픈스택 핵심 서비스 및 구성요소

오픈 스택(클라우드 컴퓨팅 오픈소스)이란 컴퓨터 하드웨어 위에 인프라 서비스로 제공하여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를 구축하게 해주는 오픈 소스 플랫폼을 말한다. 풀링(풀링은 요청하는 클라이언트가 사용하도록 활성 구성 요소 인스턴스 풀을 유지 관리 할 수있는 자동 서비스 )된 가상의 리소스를 사용하여 프라이빗 및 퍼블릭 클라우드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오픈소스 플랫폼이다. 한 문장으로 표현한다면, 클라우드 환경에서 컴퓨팅 자원과 스토리지 인프라를 셋업하고 구동하기 위해 사용하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의 집합이라고 보면 된다. OpenStack 플랫폼을 포함하는 툴, 일명 “프로젝트”는 컴퓨팅, 네트워킹, 스토리지, Identity 및 이미지 서비스의 핵심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클라우드 컴퓨팅

- 경제성 * 실제 자원 활용률 : 5% ~ 20% * 특정 시점에서만 활용률이 높음 - 스포츠 시즌 : 영상 스트리밍 - 쇼핑 시즌 : 초콜릿 쇼핑몰 (예: 발렌타인데이 / 뻬뻬로 데이) 제공 유형에 따른 분류 IaaS [ 인프라 제공 서비스 ] - 프로세싱 파워, 서버, 네트워크, 가상화 및 OS 와 같은 기본적인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PaaS [ 플랫폼 제공 서비스 ] -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개발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단말을 위한 API 를 제공하거나 다양한 이기종 간의 단말에서의 개발 환경을 제공 SaaS [ 소프트웨어 제공 서비스 ] - 별도의 전용 소프트웨어를 제공하여 소비자가 단지 어플리케이션만을 사용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운영체제, 하드웨어..

정적할당과 동적할당 (thin provisioning & thick provisioning)

thin provisioning 가상 디스크가 최초 0 Byte 부터 생성 되어 사용한 만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형태 예를 들어 VM 생성시 100G를 할당하고 10G의 OS를 설치 했다고 했을 시 실제 차지하는 물리 디스크 용량은 10G 장점 가상디스크의 생성이 빠르고 저장공간의 절약에 유리. 단점 "thick" 방식 보다 성능이 높지 않음. 가상 디스크에 파일을 삭제해도 파일 테이블의 index만 삭제하게 되므로 실제 물리 디스크 상에서는 줄어들지 않음. thick provisioning 가상 디스크가 생성 될때 할당한 디스크 사이즈 만큼 실제 물리디스크에 할당하는 방식 thick 방식의 두가지 유형 (lazy와 eager) lazy zeroed(느리게 비워지는 thick) : 가상 디스크가..

프로비저닝이란 (provisioning)

클라우드 공부를 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프로비저닝이라는 단어를 심심치 않게 읽어볼 수 있었을 것이다. 프로비저닝이라는 말의 의미는 한국어로 보는 것 보다는 영어로 보는게 더 이해하기 쉬울듯 하다. provistioning , 말 그대로 제공하는 것 IT 인프라를 구축하는 초기단계에서 다양한 자원에 접근하기 위한 시스템을 manage하기 위해 필요한 단계들을 제공한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이런 단계에서 우리가 받게 되는 것들에는 서비스나 자원이 있을 수 있다. 개념을 알아도 구체적으로 실무에서 어떤 것들을 제공받는지 감이 오지 않았다. 그래서 더 검색 해보니 아래와 같은 것들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출처 : https://jins-dev.tistory.com/entry/%ED%94..

GUI란 (feat. CLI)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지유아이. GUI는 그래픽 기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입출력 등의 기능을 알기 쉬운 아이콘 따위의 그래픽으로 나타낸 것이다. 단순하게 웹이나 앱에서 보여지는 아이콘 뿐 아니라 가전제품, 게이밍툴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GUI에 대해 들어보았다면 CLI와 함께 이 개념을 알아두면 좋다. CLI (Command Lind Interface, 명령어 기반의 인터페이스) 처음 컴퓨터를 접하다보면 GUI가 좀 더 프로그램을 다루기 쉬운 툴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커맨드를 손에 익히다보면 마우스로 하나하나 눌러 선택하는 작업보다 간단한 커맨드로 툴을 사용하는 방법이 더 수월하다고 ..

IT 인프라의 유형 _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On-Premise & Public Cloud [ On-Premise ] 기업이 자체 데이터 센터를 보유하고, 그 안에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 등을 구축하고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방식을 의미. (데이터 센터의 rack을 빌리기도함)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이 나오기 까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이었으며, 기업이 직접 구축한 Private Cloud 도 On-Premise 환경에 속한다. 데이터센터의 관리 (향온향습기, 전력시스템 등) 부터 물리 시스템 구축 및 운영까지 관리 범위가 넓다. [ Public Clound ] 클라우드는 온(on)프레미스와 반대로 오프(off)프레미스라고도 한다. 인프라는 Cloud Service Provider(CSP) 에서 구축하고 운영관리 한다. 어느 기업이든 클라우드 이용을 원..